국립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 (National Agricultural Bio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NABIC)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19회 작성일 18-06-28 14:49본문
◆ 개요 :
- NABIC 현황
· 농촌진흥청은 2002년 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를 개소, 지속적 투자를 통해 농업분야 생명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활용을 지원하고 있음. 현재, 유전체 분석 서버, 백업서버, 대용량 정보 저장장치 등 약 15종이
구축되어 있으며 이중 분석서버는 5대로서 9TB의 메모리를 보유하고 있고 대용량 저장장치는 1.3PB를 보유하고 있음
· 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에서 식물, 동물, 미생물, 곤충 등 농업생명 자원에 대해 유전체, 대사체 등 총 431종,
330만 7천건(37.25TB)에 해당되는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포스트게놈 다부처유전체사업을 통해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신규 프로그램 추가 개발하여 지원하고 있음
[유전체 정보시스템 현황]
구분 | 시스템 명 | 주요 내용 |
운영·분석 | NGS | NGS분석 |
분석 | BIOXM | 유전체 구조 및 기능분석 |
분석 | PEDANT | 유전체 구조 및 기능분석 |
해독 | 표준유전체해독시스템 | 유전체 서열 조립 및 유전자 탐색 |
해독 | 농생명유전체활용시스템 | 유전형 분석 및 분자마커후보 탐색 |
[시스템 인프라 현황]
* 중앙처리장치 : 464 CPU
* 데이터 저장장치 : 1.3 PB
구분 | 서버 | 네트워크 | 스토리지 | 보안 | 백업 | 계 |
통합 | 5대 | 1대 | 3대 | 1대 | 1대 | 11대 |
◆ 주요역할 :
- 농생명 빅데이터 등록, 성과인증, 공유, 활용 및 검색 등 통합서비스 제공
· 농업생명정보의 등록 시스템 운영 및 성과인증
· 등록·수집 정보의 분석 및 통합 관리
· 등록·수집 정보의 국가활용시스템 구축 및 제공
· 국내외 생명정보 관련 기관과의 협력
-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등 국가 농업생물 유전체 해독사업으로 얻어진 대량의 생물정보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자간 공유체계 구축 등 지원 및 주요 농생물 유전체 정보와 관련 분석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서비스 계획 중
관련링크
- http://nabic.rda.go.kr/ 130회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