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세부사업 | 지원내용 |
---|---|---|
기 반 · 산 업 화 인 프 라 |
유전체 정보분석 공동연구 기반구축사업 |
유전체 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한 수요자(국민, 연구계, 산업계)중심 유전체분석 서비스 인프라 구축 및 고도화 - 국내 유전체 빅데이터의 저장, 관리, 분석 및 결과 활용을 위한 수요자 중심 유전체 정보 네트워크 첨단 서비스 시스템 구축·운영 - 유전체 데이터 등록, 보존 및 활용 소프트웨어 개발·지원을 통한 다양한 고급 유전체 분석 서비스 개발·제공 |
다중 오믹스 기술개발사업 |
유전체/단백체/정보기술 융합을 통하여 질병 조기진단 및 치료용 바이오마커 발굴 | |
생명현상 유전체 연구 |
생명현상 유용 바이오마커 발굴 및 질병기전 유전체 조작제어기술개발 등 | |
공 동 연 구 |
질병기전규명 유전체 연구 |
단일세포 수준의 전사체분석을 통한 호발암 진단 및 치료 예측 기술개발 |
숙주-미생물 상호작용 연구 |
인체 장내 병원성 세균 및 공생미생물 상호작용 유전체 연구를 통한 미생물의 기능 및 장내질환 개선 기전연구 | |
국제협력 공동연구 | 크로마틴 기반의 신개념 바이오 마커 발굴 | |
유전체 전문인력 양성 | 유전체 전문인력 양성 대학원 교육 과정 고도화 및 신규 BIT 인력 양성 과제 지원 |
분야 | 세부사업 | 과제명 | 책임자 | 주관연구기관 | 총연구기간 |
---|---|---|---|---|---|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전략연구 | 박종훈 | 숙명여자대학교 | 2017-04-01 ~ 2022-10-31 | ||
기반·산업화 인프라 |
유전체 정보분석 기반구축 사업 |
유전체 정보 복합분석을 위한 초고성능 핵심기술 개발 및 개방형 플랫폼 구축 | 김선 | 서울대학교 | 2014-11-01 ~ 2022-10-31 |
다부처 유전체 정보 활용 및 연구 지원 시스템 개발 | 이병욱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8.07.01 ~ 2021.12.31 |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유전자-주석-질병간의 연관성 예측 시스템 개발 | 이영식 | 서울대학교 | 2014-10-01 ~ 2022-09-30 | ||
유전체 정보 개방형 분석 서비스 환경 구축 - 메타게놈 데이터 | 김지현 | 연세대학교 | 2014-11-01 ~ 2022-10-31 | ||
전사체 시퀀싱 데이터의 분석 알고리즘과 파이프라인 개발 및 서비스 구현 | 이상혁 | 이화여자대학교 | 2014-10-01 ~ 2022-09-30 | ||
대용량 전장유전체 생명정보 분석 서비스 시스템 구축 및 운용 | 김남신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4-10-01 ~ 2022-09-30 | ||
후성유전체 데이터 분석 시스템 최적화 및 실용적 개방형 분석 | 노태영 | 포항공과대학교 | 2014-10-01 ~ 2022-09-30 | ||
유전체 연구기반 고도화 및 활용 서비스를 위한 차세대 게놈 인프라넷 구축 | 이병욱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4-10-01 ~ 2022-09-30 | ||
대용량 유전자 시그너쳐 기반의 조절 네트워크, pathway 및 약물유전체 통합분석 시스템 개발 | 김선영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4-11-01 ~ 2022-10-31 | ||
다중 오믹스 신기술 개발 |
유전단백체 기반 췌장암 치료불응성 예측기술 개발 | 이상원 | 고려대학교 | 2017-05-01 ~ 2022-01-31 | |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약물다중유전체 분석 기반 대장암 맞춤형 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 김형표 | 연세대학교 | 2017-05-01 ~ 2022-01-31 | ||
췌장암과 폐암 환자 유래 삼차원적 세포주 기반 유전체 분석 및 맞춤형 항암제 예측 시스템 개발 | 이현숙 | 서울대학교 | 2017-05-01 ~ 2022-01-31 | ||
유전체기반 한국인 희귀난치성 발달장애 미래형 맞춤의료(P4 medicine) 구현 | 김남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4-10-01 ~ 2022-09-30 | ||
희귀난치성 골격계 발달장애 질환의 원인 유전자 발굴을 통한 발병기전 규명 및 진단, 치료 기술 개발 | 조태준 | 서울대학교 | 2014-10-01 ~ 2022-09-30 | ||
생명현상 유전체 연구 |
NGS 기반 질환 모델 전사체 분석을 통한 신규 약물 작용점 발굴 | 김완규 | 이화여자대학교 | 2017-05-01 ~ 2022-01-31 | |
공동연구 | 질병기전규명 유전체연구 | 단일세포 전사체 기반 폐암 전이-치료예측 기술개발 | 안명주 | 삼성서울병원 | 2017-06-01 ~ 2022-02-28 |
Host-microbe Interaction | 인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정보 활용 질환 모니터링 및 제어 기술 개발 | 김명희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15-09-01 ~ 2022-08-31 | |
국제협력 공동연구 |
국제 협력 기반 암 특이적 후성유전체 마커 개발 | 김영준 | 연세대학교 | 2016-07-01 ~ 2022-02-28 | |
유전체 전문인력 양성 |
개방형 유전체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 우현구 | 아주대학교 | 2017-06-01 ~ 2022-02-28 | |
현장 맞춤형 생물정보분석 전문인력 양성 | 최익영 | 강원대학교 | 2016-07-01 ~ 2022-02-28 |
※ "생명연구자원"이란 생명공학연구의 기반이 되는 자원으로서 산업적으로 유용한 동물, 식물, 미생물, 인체유래 연구자원 등 생물체의 실물(實物)과 정보를 말함(생명연구자원법 제2조)
※ “생명정보”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25조에 의해 생명정보 연구성과물(유전체·전사체 등)에 규정되어 있는 모든 오믹스(omics) 정보를 총칭
〈KOBIC 목표 및 추진체계〉
관련 법규 | 「생명연구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11조 |
지정기관 |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
주요업무내용 |
생명연구자원 통합정보시스템의 구축과 운영 생명연구자원과 관련된 정보의 분석 및 제공 생명연구자원과 관련된 자동화시스템의 설계, 개발, 구축과 관리 생명연구자원과 관련된 연구기관 및 기탁등록보존기관의 정보관리 지원 및 교육 국내외 생명연구자원 정보관리기관과의 협력 그 밖에 생명연구자원의 통합적 관리와 유통에 필요한 사항 |
〈CLOSHA: 사용자 워크플로우 편집 및 실행결과 확인〉
〈다부처 유전체 포털 Genome-Infr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