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생물의 유전체 정보 분석 및 유용기능 제시를 통한 해양바이오산업의 활성화 기반 구축 및 국가 해양수산생물의 분류군별 유전체 분석과 연구를 통한 산업화 가능성 제고 및 국가 해양수산생물의 생물정보 종합 관리
추진과제
해양동물, 해양식물, 해양미생물, 해양메타유전체, 수산생물 유전체 분석 및 활용기반 연구와 해양수산생물 유전체정보센터 구축·운영 등 6개의 세부과제로 구성
분야
세부사업
지원내용
응
용
연
구
해양수산생물
유전체 정보 생산
차세대 해양생명공학 육성전략과 연계한 해양동물, 해양식물, 해양미생물, 수산양식생물 유전체 해독 및 유용유전자원 발굴
- 해양동물 유전체 정보의 원천자료 생산 및 유전정보를 활용한 유용유전자원 발굴
- 해양식물 유전체 생산 및 활용기반 기술 개발
- 생태계 특수기능 보유 해양 미생물 및 유용 해양미생물 유전체 해독, 해양미생물
유전체 진화 규명
- 해양마이크로비옴 유전체 정보의 원천자료 생산, 해양 자연 환경 및 양식 산업
환경 관련 지표 발굴
- 수산양식생물 유전체 해독 및 참조유전체지도 작성
해양수산생물
유전체 정보 분석 및 관리
해양수산생물의 유전체 정보 원천자료 활용
- 해양동물의 유전체 정보 원천자료 활용
- 해양식물 유전체 분석 및 활용기반 기술 개발
- 생태계 특수기능 보유 해양미생물 유전체 기능 규명 및 해양미생물 유전체 진화 비교
분석 기술 개발
- 해양 메타유전체 분석 및 활용기반 기술 개발
- 양식생산성 향상을 위한 유용경제형질관련 유전자 발굴 및 활용 기술 개발
- 해양수산생물 유전체 정보 분석 데이터 활용 시스템 구축 및 공유·분석서비스 제공
공
동
연
구
유전체 전문인력 양성
부처간 공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통해 해양·수산 분야 유전체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수료자 배출
사업목표 및 추진전략
성과연계·활용
생물자원 주권 확보 및 유용유전자원 발굴에 중장기 계획을 수립 중인 환경부와 공동연구 추진 및 연구인력 교류
해양 메타유전체 결과와 인간, 동식물, 환경 메타유전체 결과를 이용하여 국내 메타유전체의 통합적 분석을 수행
KOBIC의 교육 인프라와 연계하여 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 강화 및 유전체 분야 관련 학회, 성과교류회 등과 연계
B2세부- 해양수산생물 유전체정보 기반 헬스케어, 재생의료소재 및 소재선별 스크리닝 시스템 개발
안혜숙
국립해양생물 자원관
2018-09-01 ~ 2021-12-31
C1세부-유용 해양미생물 유전체 정보 분석 및 활용기반 구축
윤여준
이화여자대학교
2018-09-01 ~ 2021-12-31
C2세부-해양수산생물 유전체정보 활용-메타게놈
노미나
한양대학교
2018-09-01 ~ 2021-12-31
C3세부- 해양수산생물 유전체정보 활용(해양미생물, 메타게놈)
운노 타쯔야
제주대학교
2018-09-01 ~ 2021-12-31
해양수산생물유전체정보센터 (Marine Genome Information Center, MAGIC) 개요
해양수산생물 유전체 정보 센터는 해양수산부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인 국가 해양수산생물 유전체
정보 분석 및 활용기반 연구 사업으로부터 생산된 해양수산생물(해양동물, 식물, 미생물, 메타유전체, 수산
생물) 유전체 정보의 원천데이터와 분석데이터를 수집, 관리, 보존, 제공하고 연구데이터 공유기반을
마련함으로써 포스트게놈 시대에 해양수산 관련 국내 연구활동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주요역할
해양수산생물 대량 염기서열 등록 시스템 구축 및 부처간 연계 방안 수립
해양수산생물 대량 염기서열 품질관리 시스템 및 전략 유전체 정보 서비스 구축
해양수산생물 유전체 분석 서비스 구축
해양수산생물 유전체 등록・공유・관리 및 활용 기반 포털 서비스 운영
해양생물 유전체 정보를 통합・관리할 국가가원의 해양수산생물 유전체 정보 센터 운영
해양생물과 수산생물, 미생물 등 각 분류군별 응용 및 산업적 활용 시나리오에 맞춰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과 정보시스템 운영
해양수산생물의 유전체 원천자료와 분석자료를 통합・관리하고, 해양수산부 산하의 자원관리 기관과의 협력 및 국제 유전체 협력연구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