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자원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임목 개발 및 목재자급율 제고, 신규 유전체 집중 해독을 통한 임업 현안 문제 해결 목적의 연구개발사업
추진과제
분야
세부사업
지원내용
응
용
연
구
임업기술연구개발(R&D)
경제수종인 소나무와 나라꽃인 무궁화의 표준 유전체를 해독하고, 산림자원 유전체 포털(FOBIC)을 구축
- (소나무) 육종프로그램에 포함된 수형목의 표준유전체를 해독하고, 유전체 육종집단 조성 및 목부의 진화-발달 관련 다중 오믹스 분석
- (무궁화) 내한성이 높은 품종 2종의 표준유전체를 해독하고, 전사체 및 유전체
재분석을 통한 자육종 플랫폼 구축
- (시스템) 산림자원 유전체 정보의 통합관리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해 산림자원
유전체포털(FOBIC) 구축 및 KOBIC과의 연동체계 구축
사업목표 및 추진전략
주요 향토 산림자원의 신규유전체 해독과 유전체 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유전체 육종기반 구축 및 연관지도 작성 : 유전체 육종집단 조성 및 고밀도 유전연관지도 작성
신규 유전체 완성 : 핵 표준유전체 및 세포질 표준유전체 완성
비교유전체 이용 : 비교유전체 이용 마커 개발 및 유전체 정보 활용 플랫폼 개발
오믹스 기반 이용 : 다중 오믹스 네트워크 구명 및 유용형질 예측 시스템 개발
성과연계·활용
산림분야 국공립 연구기관 및 타부처 연구기관과 유전체 정보 공유를 통한 성과 활용도 제고 추진
산림청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과제현황
분야
세부사업
과제명
책임자
주관연구기관
총연구기간
응용연구
임업기술연구개발(R&D)
산림자원 유전체 해독사업
박응준
국립산림과학원
2014-05-26 ~ 2021-12-31
국립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 (National Agricultural Bio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NABIC) 개요
NABIC 현황
농촌진흥청은 2002년 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를 개소, 지속적 투자를 통해 농업분야 생명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활용을 지원하고 있음. 현재, 유전체 분석 서버, 백업서버, 대용량 정보 저장장치 등 약 15종이 구축되어 있으며 이중 분석서버는 5대로서 9TB의 메모리를 보유하고 있고 대용량 저장장치는 1.3PB를 보유하고 있음
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에서 식물, 동물, 미생물, 곤충 등 농업생명 자원에 대해 유전체, 대사체 등 총 431종, 330만 7천건(37.25TB)에 해당되는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포스트게놈 다부처유전체사업을 통해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신규 프로그램 추가 개발하여 지원하고 있음
유전체 정보시스템 현황
구분
시스템 명
주요 내용
운영·분석
NGS
NGS분석
분석
BIOXM
유전체 구조 및 기능분석
분석
PEDANT
유전체 구조 및 기능분석
해독
표준유전체해독시스템
유전체 서열 조립 및 유전자 탐색
해독
농생명유전체활용시스템
유전형 분석 및 분자마커후보 탐색
시스템 인프라 현황
중앙처리장치 : 464 CPU
데이터 저장장치 : 1.3 PB
구분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보안
백업
계
통합
5대
1대
3대
1대
1대
11대
주요역할
농생명 빅데이터 등록, 성과인증, 공유, 활용 및 검색 등 통합서비스 제공
농업생명정보의 등록 시스템 운영 및 성과인증
등록·수집 정보의 분석 및 통합 관리
등록·수집 정보의 국가활용시스템 구축 및 제공
국내외 생명정보 관련 기관과의 협력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등 국가 농업생물 유전체 해독사업으로 얻어진 대량의 생물정보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자간 공유체계 구축 등 지원 및 주요 농생물 유전체 정보와 관련 분석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서비스 계획 중